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치매 환자의 증가는 국가적 이슈가 된 지 오래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치매 국가책임제의 시동을 위한 준비에 한창이고, 치매 환자 관리는 이미 정부기관을 통해 상당 부분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중앙치매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집계하는 환자 수를 살펴보면, 9월 현재 65세 이상 노인 약 711만 명 중 치매 환자는 10%가 넘는 72만 명을 기록하고 있다. 치매 환자 하면 대부분 알츠하이머병을 떠올리지만 치매의 한 종류인 혈관성 치매 역시 적지 않다. 전체 치매 환자 중 16.5%인 약 12만 명이 혈관성 치매를 앓고 있다.
2017-11-27
다른 큰 사고들과 마찬가지로 발단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은행 전산실에서 근무하는 이경호(李京浩•48)씨는 산전수전 다 겪은 프로그래머다. 업무에서는 문제가 될 만한 것은 없었다.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업무의 특성상 여러 대의 컴퓨터를 다뤄야 하는 그의 주변은 당연히 복잡한 케이블이 얽혀 있었다. 임시로 가설해놓은 전선이 문제였다. 바퀴가 달린 의자로 몸을 모두 움직여 좌우의 다른 컴퓨터를 조작해야 했지만 케이블이 걸리적거리면서 손과 목만 움직여 다루는 습관이 생겼다. 말 그대로 사소한 것이었다. 별것 아니라 여겼다.
2017-11-27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폭염주의보가 전국 곳곳에 내려진 상태입니다. 어떻게 하면 무더위를 이길 수 있을까요. 의학적으로 도움이 되는 8가지를 알아봤습니다. 이열치열(以熱治熱)은 더위를 이기는 가장 잘못된 태도입니다. 일부러 사우나 등 더운 곳에 가거나 뜨겁고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은 미련한 짓입니다. 체열이 올라가 더욱 탈진하게 되며 심한 경우 열사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의학적으론 이수치열(以水治熱)이 좋습니다. 그러니까 더위는 물로 다스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물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비열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2017-11-27
귓가의 사이렌 소리가 고막을 찢을 듯했다. 함께 탄 구급대원은 쉴 새 없이 무언가 물었지만 너무나 혼란스러워 제대로 대답할 수 없었다. 시끄러운 구급차의 신호음을 비집고 들리는 언니의 다급한 목소리는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짐작케 했다. 그저 가족이 함께 타고 있다는 사실이 위안 이 될 뿐이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에서 만난 김해임(金海任•57)씨는 당시의 급박한 상황을 이렇게 설명했다. 불과 몇 달 전인 6월 6일의 일이다.
2017-11-27
“애가 잘 먹고 잘 크면 좋은 거 아니야?” 손주들의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는 할머님들의 반응은 으레 비슷하다. 통통한 볼은 그저 귀엽고, 또래보다 빨리 성장하는 것은 더 좋은 일이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오히려 또래보다 성장이 느린 경우에는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래 친구들보다 말랐어.”, “키가 안 자라는 것 같은데 괜찮을까?” 손주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오는 염려이겠지만 또래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성숙한 것은 정상적인 성장이 아닐 수도 있다.
2017-11-27
“요즘 동료 의사들이 임플란트 환자가 늘었다는 말을 많이 해요. 보험적용이 되어 비용 부담이 줄어들었고 날이 따뜻한 봄에 치료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몇십 년 전에는 틀니가 엄청 비쌌는데 이제는 임플란트를 어버이날 선물로 선택할 정도로 대중화됐다. 예전에 비해 시술 비용이 많이 저렴해졌고 재료의 국산화, 수면시술 등 기술도 발전했기 때문이다. 건강한 치아는 오복(五福) 중 하나라고 한다. 강남 신사동에 위치한 더페이스치과 이중규 원장에게 치아를 제대로 관리하는 방법과 임플란트 시술에 대해 들어봤다.
2017-11-27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나이 들어가는 것이 더 중요해진 웰에이징(Well-Aging) 시대. 건강과 삶의 질을 고려해야 하는 시니어에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구강 건강이다. 특히 국내 65세 이상 시니어 2명 중 1명이 사용하는 틀니의 경우는 즐겁게 먹고 말하고 웃는 등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사용자 10명 중 7명은 올바른 세정 및 보관법을 몰라 틀니를 제대로 살균하지 못하고 잘못된 보관법으로 틀니가 변형되는 등 문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2017-11-27
4월이다. 봄기운이 완연해지니, 이 산 저 산에 상춘객들이 붐빈다.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산을 좋아하는 나라가 또 있을까? 몸이 안 좋으면 산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등산을 하면 우리 몸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201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