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버지니아에 사는 다이앤 에블린은 담당 의사로부터 글루텐이 들어있지 않은(Gluten-free)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진단을 받은 직후, 2007년에 ‘글루텐 프리 음식 블로그’를 만들었다. 처음에 단지 조리법과 글루텐 프리 자료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시작했던 블로그가 점차 확대되면서, 그녀의 ‘건강 코칭 사업’의 필수 부분이 되었다.
2018-02-13
그렉 베틀리는 MIT에서 경영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사회 심리학 분야의 대학원 과정을 밟았다. 졸업 후 유명한 하이테크 기업의 프로그래머이자 선임 기술 전문가로 일했다. 마지막으로 다니던 회사에서 구조조정으로 퇴직하게 되었다.
2018-02-13
전직 증권맨인 미카미 요시아키(三上純昭, 60) 씨는 영업력이 없는 중소기업의 경영자를 대신하여 신상품이나 서비스를 대기업 등에 소개하고, 거래를 틀 수 있게 하는 비즈니스 매칭(Business Matching) 사업을 하고 있다. "내 생각에 이 일은 사회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유망한 중소기업 경영자를 발굴하고, 그리고 비즈니스가 될 것 같은 상품이나 사업 아이템을 찾아 연결하기 위해, 매일같이 사람과 상품을 찾아 본다. 그게 재미 있다.”고 말한다.
2018-02-13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급히 보육원에 아이를 데려 가고 데려 오기를 의뢰하거나, 보육원의 문 닫는 시간에 맞춰 아이를 데리러 가지 못해 일시적으로 맡겨놓아야 할 경우에 의뢰할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AsMama(요코하마)의 인터넷 서비스 ‘육아 쉐어’다.
2018-02-13
나카무라 시즈오(中村靜雄, 1946년 생)씨가 목표로 하는 것은 월 순 수입 100만엔 달성과, 퇴직자들의 자립을 지원하는 “꿈 실현학교” 운영, 그리고 병들어 누워 있더라도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한 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2018-01-22
평범한 주부였던 키타즈메 하츠에(北爪初江,56)씨는 남편의 회사가 경영 위기에 몰리자 자기라도 사업을 하지 않으면 집안이 망하게 된다고 생각하고 창업을 결심했다.
2018-01-21
‘수십 통의 전화도 이젠 스팸 문자 달랑 세 통. 식탁 내 자리는 아내가 차지했네. 아이고 내 신세. 장롱 속에 철 지난 옷들, 통 넓은 양복바지 저 주인이 누구였었나. 이젠 짐 덩어리. 아~ 지나간 시간, 아~ 그리운 시간, 있을 때 잘할걸, 퇴근 후 2시간’ 정기룡(鄭起龍·59) 미래현장전략연구소 소장 겸 삼성에스원 충청 상임고문이 작사한 노래 ‘퇴근 후 2시간’의 가사다. 노래 속 그의 어깨는 처져 있지만, 이제는 위풍당당한 모습으로 현역 때 못지않은 바쁜 일상을 살고 있다. 물론 하루아침에 일어난 변화는 아니다.
2018-01-12
지난 1월, 평균 나이 65세 시니어 인턴 3인방의 도전기를 그린 KBS 특집다큐멘터리 <시니어 도전기, 인턴(人turn)>이 방송됐다(12•19일 2부작). 새로운 세상으로 첫걸음마를 내딛는 시니어 인턴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 시대 중•장년들의 자화상을 엿볼 수 있었다. 냉혹한 현실 앞에 무너지기도 하지만, 이미 일어서는 법을 알고 있는 그들이기에 다시 용수철처럼 튀어 오른다. 또다시 현역으로 발돋움하는 그들의 레이스에 <브라보 마이 라이프>도 바통을 건네 보았다.
201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