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적 고립 위험군 발굴 및 돌봄
서울시,중장년, 고독사예방, 위기가구발굴강화, 약자와의 동행
사업개요
· 정책유형
복지
· 주관기관
서울시
· 정책소개
외로움은 새로운 팬데믹이라 불릴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었으며, 개인이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을 평균 32%까지 판단(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 12.)하는 등, 가족 규모 축소 및 1인 가구 증가를 고려한다면 이러한 위기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이 중요함 정기적인 실태조사와 함께 지역사회 자원, 스마트 기술 등을 활용한 사회적 고립 위험군 대상 돌봄 사업들은 고독사 위험 가구를 적극 발굴하고, 발굴된 가구에 대한 효과적인 관계망 형성을 통해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있음
· 지원내용
- 사회적 고립 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
- 스마트 플러그, AI 안부확인서비스 등
- 종합사회복지관 거점 좋은 이웃 만들기 프로젝트 및 우리동네돌봄단 운영 등
[고독사 발굴 체계 및 맞춤 지원을 강화하여 위기가구 사회안전망 구축]
· 사회적 고립 위험 1인가구 실태조사 실시를 통한 적극 발굴 및 맞춤 복지 연계
- 동주민센터 공무원이 위기가구를 직접 방문(필요시 비대면 병행)하는 방식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 경제 상황, 주거 현황 등 고려, 고독사 위험도 조사
- 조사완료자에 대하여 긴급복지, 안부확인, 유관기관 연계 등 복지서비스 맞춤 지원
· 외부와의 접촉·관계 등을 반복적으로 거부하는 사회적 고립 거부가구 적극 지원
- 현물·현금 등 사회도약참여비 지원을 확대하여 경제적·심리적 안정을 돕고, 거부 가구가 고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속 방문 및 지원하는 접촉활동가 확대
· 공공 데이터 또는 민·관 협력 등 활용한 촘촘한 발굴 체계 구축
- 단전·단수, 건보료 체납정보 등 47종 빅데이터 활용 선제적 발굴
- 검침원, 우체부 등 주민밀착조직 및 통·반장 등 지역복지공동체 연계 발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 상시 모니터링 확대를 통한 지역 돌봄 체계 강화]
· 전력량과 조도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위험신호를 감지하는 스마트플러그 설치
- TV, 전자레인지 등 자주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와 연결하여 일정시간(24~50시간) 전력량 또는 조도량 변화가 없을 경우 관제센터에서 안부 확인 실시
· AI 기술 활용 위기가구 대상 정기적인 안부확인 실시 및 복지 수요 파악 지원
- 대상자별 등록된 요일·시간 내 AI가 통화를 실시(주1회)하며, 미수신 또는 주민요청사항 등 확인 후 동주민센터 연계 추가적인 안부확인 및 복지 상담 실시
- 카이스트와 협력하여 딥러닝 방식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상태와 고립 위험신호까지 감지할 수 있는 고도화된 AI안부확인서비스 개발 추진
· 홈페이지
- https://www.seoul.go.kr/policy/view.do?lan=KO&id=60
문의
· 문의
- 복지실 고독대응과 0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