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칼럼: '중장년 일자리 한국사회 문제해결의 절대반지']
중장년의 일자리 불안은 주요 사회적 문제이다. 이들의 지속적인 경제활동이 노동력 감소 해결과 사회 안정에 필수적이다. 정년 연장과 계속고용을 통해 중장년의 숙련된 인력을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업 부담 완화 및 유연한 근무방식 도입이 필요하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계속 생산 주체로 남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혁하는 것은 우리 사회 전체에 득이 될 것이다.
* 동 원고는 서울시 중장년 정책 포럼 현장에서 다루지 못한 질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책동향: 「서울시 중장년 정책 포럼 2025(1차) 성과와 정책연구 방향]
「서울시 중장년 정책 포럼 2025(1차)」에서 중장년의 지속가능한 경제활동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주요 제언으로 ① 중장년 정책의 복지 중심에서 경제 활성화 전략으로의 전환, ② 중장년 고용을 위한 독자적 법적 근거 마련, ③ 중장년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 및 근무 환경 개선, ④ 기업의 중장년 채용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확대 및 직무 재설계 지원 등이 제시되었다. 1차 포럼의 내용을 바탕으로 2차(9/23) 포럼에서 제시할 「서울시 중장년 정책 로드맵」 수립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