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MY SOUL

시민의 든든한 50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 중장년
정책포럼 2025

2025. 03.11.(₫) 14:00~17:00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20F)
주최·주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50플러스재단

온라인 생중계
사전등록 신청하기

프로그램
진행 박에스더 KBS기자(디지털뉴스국 부장)
시간
내용
14:00~14:05 |개회사

14:05~14:15 환영사 · 축사

14:15 14:40 기조강연 전영수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중장년과 웰페어노믹스: 달라진 베이비부머로부터 지속가능성의 기회 찾기

14:40~15:10 |세션1 초고령 사회, 왜 '중장년' 에게 주목해야 하는가?
중장년 정책, 왜 필요한가? 데이터에 기반한 현실과 요구
강소랑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 팀장
중소기업의 중장년 인력 현황과 정책 방향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15:10~15:50 |세션2 서울은 '중장년'을 준비하고 있는가?
다시 뛰는 중장년을 위한 서울런4050, 그간의 성과와 한계
김지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 책임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일터 - 맥도날드의 중장년 채용과 그 효과
길여진 한국맥도날드(유) 이사
서울시 중장년 고용 현황과 초고령화 대응 위한 정책 방향
김진하 서울연구원 경제혁신연구실 연구위원

15:50~16:00 휴식시간

16:00~16:55 종합토론 미래 서울, 중장년 일자리 활성화 위한 정책 과제
발제자 : 강소랑, 노민선, 김지현, 길여진, 김진하
토론자
지방도시의 중장년 일자리 사업 현황과 지원 방향
손경희 대전중장년지원센터 사무국장
중장년 계속 고용 정책의 기능적 의의와 법 제도 정비의 당위성
권혁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교수

16:55~17:00 향후 계획 안내 및 폐회

연사소개
기조강연
중장년과 웰페어노믹스:
달라진 베이비부머로부터 지속가능성의 기회 찾기

전영수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기자 출신 경제학자로 인구통계와 세대 분석을 연구하는 고령화 대응 전략 오피니언 리더이다. 정부부처·서울시 등에서 인구정책 자문위원과 언론사 칼럼니스트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최근 저서로 <인구 감소, 부의 대전환>이 있다. 웰페어노믹스 관점에서 1,700만 베이비부머를 생산가능인구로 활용해 저성장, 재정난,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세션1
초고령 사회, 왜 '중장년' 에게 주목해야 하는가?
강소랑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 팀장
재단 정책연구팀에서 <중장년층 근로형태별 노후준비와 정책제언>,<민간 일자리 연계 중장년 취업 지원 모델 개발> 등 연구를 수행하였다. 행정학 박사로 주된 연구 분야는 중장년 정책 및 정책분석·평가이다.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분석을 통해 중장년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최저임금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등에서 위원으로 활동해 왔다. 현장에 기반한 다양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이 중장년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세션2
서울은 '중장년'을 준비하고 있는가?
김지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 책임
재단 정책연구팀에서 <서울시 중장년 정책 효과성 분석>, <중장년 직업전환의 경로와 의미 분석> 등 연구를 수행했다. 교육학 박사로 주된 연구 분야는 성인교육과 중장년의 퇴직 경험이다. 재단이 그간 수행한 중장년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계점을 짚어본다.
길여진 한국맥도날드(유) 이사
HR·컨설팅 분야에서 쌓은 20년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맥도날드 피플팀 Talent & Culture Director로 사람과 관련된 모든 일을 담당하고 있으며, 누구나 성장할 수 있는 열린 채용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맥도날드의 열린 채용 문화와 중장년 채용 사례 및 그 효과를 공유한다.
김진하 서울연구원 경제혁신연구실 연구위원
서울연구원에서 <고용구조와 일자리 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일자리 지원정책 방향>, <서울형 생활임금제 연구>, <서울시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따른 고용 영향과 과제> 등 연구를 수행했다. 경제학 박사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서울시의 중장년 고용 현황을 심층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중장년 일자리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종합토론 | 미래 서울, 중장년 일자리 활성화 위한 정책 과제
손경희 대전중장년지원센터 사무국장
센터 운영을 총괄하며 대전광역새일센터, 대전서구청, 공무원연금공단 등에서 쌓은 풍부한 일자리·사회공헌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중장년 일자리 정책을 고민해 왔다. 지방 도시의 중장년 일자리 사업 현황을 짚어보고 지방 도시의 지속 가능한 중장년 일자리 모델과 정책 방향을 제언한다.
권혁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교수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를 받고 학교에서 노동법을 연구·강의하고 있다. 부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등 역임하며 노동 개혁과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와 정책 제언을 활발히 해왔다. 최근 저서로는 <4차 사업혁명과 일자리 정책의 미래>가 있다. 고용 정책 주변부에 머물러 온 중장년 계속 고용 정책에 대한 법 제도 체계 정비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진행 박에스더 KBS기자(디지털뉴스국 부장) 
KBS <시사기획 창> '870만 낀 세대, 소득절벽에 갇히다(461회)' 보도를 통해 중장년 실직과 재취업 문제를 사회적으로 재조명했다. 법조 출입부터 종군 취재까지 다양한 현장에서 집요한 취재력과 치열함을 발휘해 온 대한민국 대표 여성 저널리스트로서, KBS TV와 라디오에서 여러 시사 및 뉴스 프로그램의 앵커를 맡아왔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의 중장년 정책 현황과 문제의 본질을 짚고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하는 논의를 이끌어 갈 예정이다.

참여방법
- 온라인 신청 ※사전등록 필수
신청 시 행사 시작 전 휴대폰 및 이메일을 통해 '유튜브 생방송
접속 링크'를 전달드립니다.
YouTube 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전등록
기간 온라인 신청: 2025.02.24.(월) ~ 03.10.(월) 17:00
방법 포럼 홈페이지 사전등록 신청 양식 작성 후 제출
혜택
1. 사전 등록 신청자 중 교육 이수를 신청하신 분들께는 교육 과정 완료 후 이수증을 발급해드립니다.
※ 사전등록 페이지의 교육 이수증 신청 관련 안내문 필독
2. 중장년 정책과 관련된 소중한 의견과 질문을 기다립니다! 포럼에서 의미 있는 질문을 남겨주신 분들께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총 10명 추첨)

문의
서울시 중장년 정책포럼 2025 운영 사무국
070-4938-6293
2 seoulpolicyforum@gmail.com

자세히보기-버튼.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