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직무역량 강화 교육 - 2차 실무중심 데이터라벨링
“중장년, 디지털을 배우다 → 데이터를 읽다 → 미래를 연다”
안녕하세요, 서울시50플러스 동부캠퍼스 지원단입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참여하고 있는
서울시50플러스 동부캠퍼스의 ‘디지털 직무역량 강화 교육’ 중
‘2차 실무중심 데이터라벨링 강의’의 5회차까지의
생생한 현장을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매주 수요일마다 진행되는 이 강의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실습 중심의 체험형 수업으로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해줍니다.
1회차 – “데이터 라벨링, 처음 들어보셨어요?”
* 디지털 일자리와 AI의 관계 설명
* 데이터 라벨링 개념 소개
* ‘AI가 배우는 방식’을 이해하는 시간
* 수강생 개개인의 ‘데이터라벨링에 배우는 소감과
기대하는 것’을 이해하는 시간
* ‘데이터라벨러’ 모집 회사 소개
* 참여자들의 생애 첫 데이터 구분 실습 진행
사진 자막: "AI, 데이터라벨링 배우는 건 이렇게 쉬운 일이었나요?"
2회차 – “이미지를 구분하는 법을 배우다”
* 실제 라벨링 도구를 활용해 핸드폰 등 구분
* 분류 태그 연습
* 이메일을 활용한 집에서 연습후 1:1 개별 피드백 진행
점점 손이 익으면서 수강생들 간 ‘속도 경쟁’ 아닌 ‘정확도 경쟁’이 벌어짐
사진 자막: *"사람이 보이시나요? AI는 아직 잘 몰라요, 우리가 알려줘야죠!"
3회차 – “사물 데이터 라벨링이 된다?”
* 실제 라벨링 도구를 활용해 음식, 자동차, 사람 등 구분
* 바운딩 박스, 분류 태그 연습
* 이메일을 활용한 집에서 연습후 1:1 개별 피드백 진행
‘보이는 사진이 이렇게 다르게 읽힐 수 있구나’ 라는 피드백 다수
사진 자막: "사물을 읽어주는 데이터 라벨링 실습 현장"
4회차 – “여러 데이터도 격자와 곡선으로 태그하라!”
* 실제 데이터라벨링 사진의 분석 실습
--> 박스, 격자, 곡선 등 다양한 가공
* ‘격자와 곡선으로 파악’이라는 새로운 접근에 흥미도 UP
박스로만 하다가 세밀한 곡선과 격자로
라벨링에 처음에는 당황했지만 점차 몰입
사진 자막: "양손이 바쁜 날, 강의는 귀 기울이다"
5회차 – “새로운 가공 기법도 배우자!!”
* 움직이는 데이터에 라벨링 진행
* 연속된 라벨링으로 스포츠, CCTV 등 다양한 곳에 활용
* 데이터라벨링의 어려움과 즐거움을 동시에 경험
실제 일거리 형태의 워크플로우 체험으로 큰 호응
사진 자막: "움직이는 사물을 데이터라벨링 해 보자!!"
자! 이제 데이터라벨링의 직업훈련 과정에도 도전해보자!!
직업훈련으로 배우는 일과 경험"
수강생 생생 인터뷰
정○○ 님 (66세, 은퇴 후 재취업 준비)
“이 수업을 들으며 ‘내가 지금도
디지털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혼자였으면 시도도 못했을 텐데,
여기선 함께 배우고 격려해주니까 계속하고 싶어요.”
유○○ 님 (61세, 창업 준비 중)
“새로운 디지털 직업 체험을 배우는 수업은 신선했어요.
단순히 기술을 배우는 게 아니라,
세상을 새롭게 보는 법을 배우는 것 같아요.
나중에 제 콘텐츠에도 접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김○○ 님 (58세, 구직 활동 중)
“이게 실질적인 디지털 일자리와
연결된다고 하니 기대가 돼요.
아직도 컴퓨터는 어렵지만, 이 수업만큼은 계속 따라가고 싶어요.”
지원단으로서 한 줄 소감
“처음엔 용어조차 생소했지만, 지금은
내가 AI의 스승이 된다’는 자부심이 생깁니다.
쉽지 않지만 눈과 손이 움직이는 디지털의 새로운 직업으로
중년의 입장에선 새로운 직업 활동에도 도움이 될 듯 하다”
수업을 통해 느낀 변화
**디지털에 대한 거리감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
**단순한 교육을 넘는 일자리 체험형 수업**
**디지털을 통해 자신감과 활동적인 의식 상승**
**실습 기반이라 배운 것이 손에 남음**
동부캠퍼스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디지털 교육이 궁금하시면, 아래 신청 사이트에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s://50plus.or.kr/sec/index.do
https://50plus.or.kr/sec/education-Introduce.do
동부캠퍼스 중장년시설지원단 김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