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봉제 교육 입문’ 4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전환기 중장년 집중 지원을 위해 2023년 직업전환 탐색 과정으로, ‘맞춤형 봉제 교육 입문’ 과정을 여덟 차례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봉제 분야로의 취업이나 창업을 하고픈 서울시 중장년에게 봉제 기초 입문의 기회를 주는 원데이 클래스 성격의 실습 교육이지만의류 패션 분야 전문기관인 서울패션제조지원센터(서울창신솔루션앵커) (https://www.sfsc-changsin.or.kr/)와의 협력이니만큼취미 삼아 나들이해볼 수준은 넘어선다.

 

 1.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2.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기자는 1026일 4기생 교육 현장을 참관했다아침 9시부터 시작되는 교육인데봉제로 유명한 창신동 골목이 어찌나 오밀조밀한지 서울창신솔루션앵커를 찾는게 쉽지만은 않았다.

 

 

3.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4.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8회차 교육 모두 서울창신솔루션앵커의 정수진 특수 봉제 교육 강사가 맡아 오후 1시까지쉬지 않고 수업을 진행한다먼저 서울시의 봉제 현황 알아보기서울창신솔루션앵커 둘러보기봉제 기기에 관한 간단한 이론이 한 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5.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6.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7.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8.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9.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이어서 기본 봉제 실습으로 재봉틀로 10줄 직선 박기가 30여 분 이어졌다눈이 침침해 바늘구멍이 안 보여 실을 못 꿰겠네우리가 쓰던 예전 재봉틀이 아닌 첨단 공업용 본봉 재봉틀이라 무섭다는 등 엄살 섞인 투정도 나왔지만모두 봉제에 관심 있는 4-50대 여성들이어서인지 스르륵스르륵 직선 박기를 마쳤다.

 

 10.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1.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강사님은 직선 박기도 이렇게 재미있는데내 작품을 만들어보면 정말 행복하다.”라며 팝콘백과 가오리 티셔츠를 만들어보자고 하셨다강사님이 디자인과 재단을 마치고 상세한 설명서까지 곁들인 키트를 나눠주자 다들 와하며 즐거워했다.

 

 

 12.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3.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4.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볼록볼록 폭신한 느낌의 천으로 만들어져 구름백혹은 퀼팅백으로 불리기도 하는요즘 한창 유행하는 작은 사이즈의 초록색 팝콘백과 짙은 색의 가오리 티셔츠를고작 반시간 직선 박기를 해본 수강생들이 완성할 수 있을까?

 

 15.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6.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7.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8.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그러나 강사님이 한 명 한 명 친절하게 지도해준 덕분에 신축성 있는 천을 촘촘하게 눌러가며 박음질하고뒤집고단추를 달아 팝콘백을 완성했다가오리 티셔츠는 집에서 간단히 손바느질만 하면 될 정도로 마무리했다작품 두 점씩을 들고 강사님과 단체 사진까지 찍은 수강생들의 뿌듯한 표정.

 

19.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이렇게 교육이 끝난 뒤 강사님께 어떤 성격의 사람이 봉제에 적합하냐는 우문을 던졌다. “지나치게 꼼꼼한 사람은 조금만 눈에 거슬려도 다 뜯어내니 진도가 느리긴 합니다과감한 사람이 사업을 잘 해내는 경우를 많이 봤어요성격보다 적성감각에 좌우되지요.”라는 현답을 받았다.

 

 

 20.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21.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22.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23.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24.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서울패션제조지원센터(서울창신솔루션앵커김현아 센터장과 센터를 둘러보며 설명도 들었는데봉제에 관한 한 거의 모든 것을 도와주는 곳이라친구들과 팀을 만들어 에코백이라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봉제 전문가들이 노령화되어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그래서 이곳에선 부족한 인력이 유입되도록 봉제 관련해선 모든 걸 도와준다. 100장 200장의 작은 단위 주문은 공장에서 잘 만들어주지 않지만이곳에선 패턴을 몰라도 디자인만 정확하게 해오면 CAD로 작업해서 마카가 자동으로 종이 본을 출력해주고그에 맞추어 천 재단까지 해준다.”

 

 

 25.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1층 전시 공간에선 매달 한 작가의 작품을 집중 전시하고온라인 판매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취미로 해보고 싶은 분들이 5명 이상의 팀을 구성해 오면 장식 참(Charm)이나 스티치 단추 등의 예쁜 장신구를 만들어볼 수 있다서울패션제조지원센터는 서울 전역에 패션 4개소기계 금속양말가죽 그렇게 7개 솔루션앵커를 두고 있다.”

 

26.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그림 그리는 친구랑 왔다며 서로 도와가며 즐겁게 작업하는 40대 수강생 김00씨로부터수강 소감은 물론 섬유 봉제 패션에 관한 전문적인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었다. “수출 전문 섬유 회사에서 직물 디자인을 담당했다따라서 봉제에도 관심이 있었고 동대문도 자주 드나들었지만잘 몰라서 참여해봤다나처럼 봉제를 전혀 모르는 사람을 위한 수업은 드물다어느 정도 재봉질을 해봤거나 숙련된 분을 위한 인큐베이터형 교육은 많지만내가 봉제를 잘 할 수 있을까하고 알아보려는 이를 위한 입문반이 없었기에 무척 감사한 마음으로 신청했다직접 나만의 백과 티셔츠를 만들어 보니 정말 재미있었다숙련공이 되고 취업과 창업을 하려면 무척 힘들고 오래 걸린다는 걸 잘 안다섬유 관련 산업은 보수적인 3D 업종인데다중국 상품 대량 유입남의 디자인 베끼기 등으로 산업이 기울고 있어 안타깝다재능만 있으면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등기술적 지원이 많아지고 있으니재능 있는 젊은이들이 들어와 우리나라 디자인 의상도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면 한다.”

 

6명씩여덟 차례면 48이 중에 봉제로 인생 2막을 열어보겠다는 분이 나오지 말란 법이 없다즐겁고 생산적인 무료 교육 맞춤형 봉제 교육 입문’ 과정이 많은 분에게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27.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28.jpg

ⓒ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eastok7@naver.com)

 

2023_50플러스온라인명함(옥선희_도심권).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