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직업캠프_웹소설_01.png 

최근 인기 드라마의 원작을 따라가다 보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바로 웹소설이 원작이 된 작품들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기 웹소설이 웹툰, 드라마를 넘어 영화, 게임으로까지 제작되며 '대박'을 터뜨리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웹소설 작가라는 직업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번 [40대직업캠프] 탐색과정에서는 '웹소설 작가' 라는 새로운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는 강의가 열렸습니다. 북마녀랩스 대표이자 웹소설 분야의 전문가이신 북마녀님과 함께, 오전에는 '웹소설 시장 현황과 장르 기초'를 배우고, 오후에는 '스토리텔링 및 캐릭터 설정 실습'까지 진행하며 이야기꾼으로서의 잠재력을 활짝 열어보는 하루였습니다. 오늘은 그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여러분께 전해드리려 합니다!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2.jpg 

■ 기대와 설렘으로 시작된 강의

이번 교육의 강사이신 북마녀님은 강의 시작 전 지난 상반기 강의를 마치고 느낀 기대와 고민을 솔직히 나누어 주셨습니다. 수강생들의 경험이 워낙 다양하여 강의 수준을 어디에 맞출지 고민하게 되고, 상반기 강의시간을 30분 초과하여 시간배분을 잘해야 한다는 고민을 하며 이번 강의를 준비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반가운 소식도 있었는데요. 바로 상반기 수강생 중 네이버시리즈 공모전에 당선된 분이 계셨다는 것입니다. 이런 기대와 설렘을 품고 강의가 열렸습니다.

■ 웹소설 시장 : 오해는 풀고, 가능성은 활짝!

"웹소설,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라는 흥미로운 질문과 함께 강의의 문을 열었습니다. 북마녀님은 인터넷에 소설을 쓴다고 모두 웹소설이 되는 건 아니라고 짚어주셨습니다. 개념적으로는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특정 장르들만 웹소설로 통용된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시장 현황에 대해서도 솔직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2023년 웹소설 시장 매출이 무려 1조 원에 육박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더 성장할 거라는 전망에 저절로 귀가 솔깃해지더라고요. 물론 작가님들마다 인세는 천차만별이지만, '대박'이 나면 억대 연봉도 가능하고, '중박'만 해도 다른 직업과 비교했을 때 충분히 매력적인 수입이라고 하네요.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3.jpg

 

■ 웹소설의 진짜 매력, 'IP 확장'의 무한한 가능성

웹소설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무한한 IP(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지적재산권) 확장'에 있다고 강조하셨어요. 인기 있는 웹소설은 웹툰으로 제작되는 '노블코믹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웹툰 시장은 훨씬 크고 해외 진출도 용이하다고 합니다. 또한 웹드라마, 오디오 드라마, 게임, 굿즈 등 다양한 추가 IP 사업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웹툰이나 드라마가 런칭될 때 원작 웹소설 매출이 역주행하는 '윈윈 효과'도 흔히 발생한다고 하니, 그 파급력이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ex. 전지적 독자 시점, 재벌집 막내아들 등)

■ 일반 문학 작가와 웹소설 작가, 무엇이 다를까?

일반 문학 작가와 웹소설 작가의 차이점도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웹소설 작가에게는 '등단'이라는 개념이 없다는 점이 신선했어요. 종이책의 물리적인 형태보다는 독자와의 활발한 소통과 꾸준한 연재가 훨씬 중요하다고 합니다.

저작권료 수익 배분 비율도 다르고, 무엇보다 전업 웹소설 작가분들이 훨씬 많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웹소설은 작품 출간 주기가 훨씬 잦고, '무조건 장편'을 지향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하네요. (ex. 재벌집 막내아들 326화 / 13권)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4.jpg

 

■ 누가 읽고 무엇을 쓰는가? 독자층과 장르의 세계

웹소설 시장의 주 소비층은 10대부터 4050세대까지 정말 다양하다고 합니다. 특히 '10대는 책을 읽지 않는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초등학생 고학년 여성 독자층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셨어요. 중장년층 독자분들은 도파민을 자극하는 소재를 가장 좋아하신다고 합니다. 그리고 웹소설이라고 해서 문법이나 맞춤법을 무시하는 '비문'이 허용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는 점도 분명히 짚어주셨습니다.

웹소설의 세부 장르는 크게 여성향, 남성향, 무성향으로 나뉘는데요. 여성향 웹소설에는 로맨스(현로), 로판(서양풍), 현로, 동로판.. 등이 있습니다. 남성향 웹소설에는 판타지(이세계/현대/무림현대), 무협, 역사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성향 웹소설에는 추리 미스터리& 호러, 스릴러가 있지만 현재 웹소설 시장에서 추리 미스터리는 다소 어정쩡한 장르라 본격적인 추미스(추리, 미스터리, 스릴러)는 일반서로 쓰는 것이 좋다는 조언도 덧붙여주셨습니다.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5.jpg
 

 

■ 장르별 특징과 매력적인 캐릭터 만들기

각 장르의 물리적인 특징과 스토리 구조도 상세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여성향 웹소설 : 공감과 로망의 세계

단편도 가능하지만, 남성향보다는 짧더라도 장편이 선호된다고 해요. 여자 주인공(수) 중심의 러브라인을 가지고, 남주인공은 독자의 이상형처럼 전형적인 매력을 가지지만, 독자의 감정 이입은 여주에게 이루어진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남성향 웹소설 : 끝없는 성장과 로망의 실현

남성향 웹소설은 '무조건 초장편'이 기본이라고 합니다. 100화로 완결하면 '망했다'는 뜻으로 통할 정도라고 하니, 그 길이가 짐작이 가시죠? '로망'을 전부 실현하며 성공을 늘려가는 스토리가 주를 이루고, 전문직업을 소재로 한 이야기가 많다고 합니다.

■ 캐릭터 설정의 핵심

웹소설 캐릭터는 주인공, 조력자, 악역으로 분류되고, 독자들이 원하는 주인공 연령대에 대해서도 질문을 하시는데 북마녀님은 '로망과 판타지'를 잊지 않는다면 나이는 상관없고, 오히려 작가 자신이 나이의 벽을 극복해야 한다는 조언을 해주셨는데 가슴에 와닿았습니다.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6.jpg
 

 

■ 직접 해보니 더 실감나는 조별 실습

참여자들은 먼저 장르를 선택하고 여성향 4팀, 남성향 2팀으로 조를 나누고, 배운 키워드를 토대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며 주인공과 악역을 설정하고 스토리라인을 정리한 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후 북마녀님은 조별 실습 결과물을 들으며 잘된 점과 보완해야 할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며 참여자들에게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오늘 실습한 결과물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주의를 주시고, 키워드나 소재가 겹치는 것은 전혀 상관이 없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7.png40대직업캠프_웹소설_08.png
40대직업캠프_웹소설_09.png40대직업캠프_웹소설_10.png

 

■ 웹소설 작가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길

웹소설 작가가 되는 방법으로는 투고, 컨택, 공모전이 있으며, 네이버 챌린지리그, 조아라, 문피아 등 다양한 자유 연재 플랫폼을 통해 데뷔할 수 있다고 해요.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시리즈, 리디 등 정말 많은 출판 유통 플랫폼에서 작품을 연재할 수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습니다.

■ 진짜 웹소설 작가가 되기 위한 3가지 핵심

마지막으로 북마녀님은 진짜 웹소설 작가가 되기 위한 3가지 핵심을 강조해주셨습니다

  1. (유료) 웹소설을 많이 읽을 것.

  2. 웹소설을 직접 쓸 것

  3. 그리고 가장 중요한, 끝까지 계속 쓸 것!

이 3가지를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단순하지만 강렬한 메시지였습니다.

 

 

40대직업캠프_웹소설_11.jpg

 

■ 마치며

이번 탐색과정을 통해 웹소설 작가라는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무한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등단이라는 높은 문턱이 없어도, 나이의 제약을 받지 않아도, 자신만의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을 수 있다는 사실이 많은 참여자들에게 용기를 주었을 것입니다. 이야기를 쓰고 싶은 분들께 웹소설 작가의 길은 분명 매력적인 도전이 될 것 같습니다!

여러분의 건필을 기원하며, 여러분만의 이야기가 세상에 나오는 그 날을 기다리겠습니다.

지금은 인생 후반 50년을 준비해야 하는 시대!

탐색 이론부터 실무 취업까지 한 번에!

인생전환을 고민 중이신 40대 여러분에게

든든한 길을 열어 드립니다

미리 준비하는 50년,

40대직업캠프로 오세요!

40대직업캠프_웹소설_12.png

공식 홈페이지☞https://50plus.or.kr/s40/index.do

사업 안내☞https://50plus.or.kr/s40/camp.do

탐색 과정☞https://50plus.or.kr/s40/campresearch.do

실전 과정☞https://50plus.or.kr/s40/camppractice.do

취업 과정☞https://50plus.or.kr/s40/campemployment.do

연간 운영 일정☞https://50plus.or.kr/s40/campemployment.do

#40대직업캠프 #40대 #직업캠프

#탐색과정 #실전과정 #취업과정

#웹소설 #웹소설작가

#서울런4050 #4050

#취업 #이직 #전직 #중장년

#중장년취업 #중장년일자리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 #서울

글, 사진 : 중장년사업지원단 김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