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캠퍼스 동기가 아니라 아지트 동지랍니다  

 

서울시 50~60대 커리어 교육 위해
50플러스 캠퍼스 지난해부터 운영

서부캠퍼스 인생학교 2기생들 
전공필수 ‘인생학교’에서 또래 만나
처음엔 무뚝뚝하다 커뮤니티 통해 
캠퍼스를 아지트 삼아 으샤으샤

가드닝 협동조합 5년 보고 준비중 
“인생 2막 최고의 소득은 친구” 

 

지난 6일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인생학교 2기 커뮤니티인 ‘드림가드닝’ 회원들이 서울 성동구 서울숲에서 가드닝 자원봉사 프로젝트인 초록산책단 강의를 듣고 나온 뒤 꽃밭을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가드닝 협동조합을 차근차근 준비 중인 이들은 5월 개장하는 ‘서울로7017’의 꽃과 나무를 가꾸는 자원봉사를 하게 된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지난 6일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인생학교 2기 커뮤니티인 ‘드림가드닝’ 회원들이 서울 성동구 서울숲에서 가드닝 자원봉사 프로젝트인 초록산책단 강의를 듣고 나온 뒤 꽃밭을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가드닝 협동조합을 차근차근 준비 중인 이들은 5월 개장하는 ‘서울로7017’의 꽃과 나무를 가꾸는 자원봉사를 하게 된다. 강재훈 선임기자

 

가드닝 협동조합 꿈꾸는 ‘50플러스 인생학교’ 졸업생들

 

물리학에서 모든 에너지가 시간에 따라 소멸된다는 열역학 제2법칙은 의심할 수 없는 진리입니다. 그러나 예외도 있습니다. 인간은 교육과 의지로 시간이란 변수를 극복합니다. 서울시가 은퇴를 고민하는 50대 이상의 시니어들에게 새로운 친구들과 으샤으샤 할 아지트를 제공하는 50플러스 캠퍼스를 다녀왔습니다. 전공필수인 ‘50플러스 인생학교’를 수강하고 또래들과 가드닝 협동조합을 꿈꾸는 ‘백발의 청년’을 만나고 왔습니다. ‘나이야 가라’가 아니라 ‘나이쯤 와라’를 외치는 이들의 패기는 청년의 그것이었습니다.

 

올해 봄은 유난히 벚꽃이 늦었다. 지난 4일에야 서울 마포구 공덕오거리 롯데시티호텔 옆에서 활짝 핀 벚꽃을 처음 봤다. 40층 높은 건물 아래 작은 키의 벚나무 두 그루 덕에 미세먼지로 침침해진 눈이 환해졌다.

 

벚나무를 뒤로하고 공덕오거리를 굽어보는 염리동 언덕 위의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로 향했다. 옛 한국산업인력공단을 리모델링한 캠퍼스는 새 단장을 하기 위해 온통 공사중이었다. 이날 오후 5시 ‘50플러스 인생학교’ 1기 입학식이 열렸다. 인생학교는 50~60살의 중년들에게 새로운 인생에 대한 설계를 도와주려는 취지로 개설된 과정이다. 50플러스란 말도 ‘늙다’라는 개념을 뺀 중년을 뜻하는 신조어다.

 

4층 대강당에서 열린 입학식에는 머리가 희끗한 50대 신입생 49명이 7개조로 나뉘어 디귿(ㄷ)자로 배치된 책상에 앉아 있었다. 남성 29명, 여성 20명이었다. 완전히 은발인 신사도 보였다. 반면 ‘저분은 왜 여기 오셨나’란 생각이 들 정도로 젊어 보이는 여성도 있었다. 외모만 보면 동기들의 나이 차는 10년이 훌쩍 넘어 보였다.

 

 

무뚝뚝한 50대 표정이 환해진 비결

 

49명의 표정은 통념상의 여느 중년들처럼 굳어 있었다. 이날 사회를 맡은 서부캠퍼스 1기 졸업생 현길룡씨가 마이크를 잡자마자 “자, 생명을 같이할 전우입니다. 서로 인사합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입생들은 웃지 않았다. ‘전우’라는 말에 선뜻 동의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들은 한 시간이 걸려 서로 자기소개를 하고 자신의 닉네임을 사람들에게 발표하는 과정을 거친 뒤에야 표정이 부드러워졌다.

 

50플러스들이 무뚝뚝한 건 이유가 있다. 유독 힘들기 때문이다.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매년 발간하는 <한눈에 보는 사회상(Society at a Glance) 2016>을 보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자살률 1위이며 삶의 만족도도 최하위 수준이다. 특히 50대의 사회적 고립감(35위)이 회원국 가운데 가장 위험한 상태로 나타났다.

 

실제 서울시민들이 퇴직하는 평균 연령은 53살이다(2015년 기준). 재취업에 걸리는 시간은 평균 10개월이지만 대부분 질 낮은 일자리다. 지난해 8월 기준 통계청 자료를 보면,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644만명 가운데 60살 이상 비정규직이 146만8000명(22.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50대 비정규직이 138만2000명(21.5%)이었다. 이 때문에 노년 빈곤율은 오이시디 최고 수준인 44.7%(2013년 기준)다.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50플러스재단을 만들어 50대 이상 시니어의 재교육에 나선 것도 이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 이들에게 소득과 함께 사회봉사의 기회를 보장하는 ‘앙코르 커리어’를 마련하기 위해 몇개월만 투자해 또래들과 함께 고민해볼 기회와 공간을 제공하려는 의도다.

 

그런데 필수 강의로 불리는 인생학교 강좌는 4월4일 시작해서 6월20일 끝난다. 석달이 채 안 되는 11주 수업으로 과연 50대들이 환하게 웃고 인생의 새로운 길을 찾을 용기를 가질 수 있을까? 선뜻 가늠이 되지 않았다. 해답은 이들의 선배들을 보면 되지 않을까? 이날 입학식에는 신입생들을 돕는 ‘자기주도 학습설계사’(모더레이터) 자격으로 참석한 선배들이 있었다. 이강호(59)씨도 그중 한 사람이다.

 

이씨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12주 동안 서부캠퍼스 인생학교 2기를 다녔다. 그는 “우리 때는 입학식 때 오늘처럼 교수님들이 뭘 시켰더니 ‘내가 왜 이런 걸 해야 하느냐’며 욕을 했던 사람도 있었다”고 귀띔했다. 그런 분위기가 변곡점을 찍기 시작한 것은 6주째 동기들끼리 커뮤니티를 만들 때부터였다고 말했다. 그 역시 2기 사진 커뮤니티 ‘펀’(PUN: 사진을 우리 함께 나누자란 뜻)의 대표이고 가드닝 커뮤니티 ‘드림가드닝’에서 활동 중이다.

 

*출처: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