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은 언제부턴가 결혼해 아이를 낳아 키우는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는 일이 됐다. 여성인력개발센터와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두 센터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직업상담뿐 아니라 직업교육, 인턴십, 취창업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22-05-13
"임야·경작지에 늘어선 태양전지판으로 산림·농지 훼손 등 논란을 일으키는 태양광발전 방식은 이제 바꿔야 합니다. 공장이나 도심 빌딩에서 발전이 가능한 태양광으로 눈을 돌려야 할 때입니다."
2022-05-03
서울경제 라이프점프는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다양한 지원을 받아 성장한 여성 창업기업의 대표 세 분을 만나 성장 스토리에 대해 들어봤다. 첫 번째로 소개할 분은 장윤희 리즈코퍼레이션 대표다.
2022-04-28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50+인턴십>을 통해 재취업에 성공한 '김현서'님의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
2022-04-27
53세. <50대에 도전해서 부자 되는 법>을 쓴 서미숙 씨가 부자가 되기로 결심한 나이다. 50대가 어떤 나인가.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산들바람만 불어도 가슴이 시려오던 20대만큼은 아니어도, 어느새 찾아온 은퇴와 줄어든 소득, 아직 더 도움이 필요한 자녀들 사이에서 미래에 대한 또 다른 불안감에 자신을 돌아볼 겨를이 없는 나이다. 서미숙 씨도 예외는 아니었다.
2022-04-22
전라남도 곡성군의 대표 복지 서비스인 ‘찾아가는 희망복지 기동서비스’에 퇴직 공무원들의 재능기부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2022-04-22
현대인들은 집을 짓거나 수리할 때 스스로 할 줄 아는 게 거의 없다. 소비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돈만 지불할 뿐이다. 모두가 당연시하는 과정이다. 여기에 반기를 든 이가 있다. 함승호(59) 적정기술공방 대표다.
2022-04-15
인생 2막에 있어 ‘성공’이란 무엇일까. <우리 가족이 카페를 열었습니다>의 저자 임봉수 씨는 인생 2막의 ‘성공’을 조금 다르게 정의했다. 돈을 많이 벌지 않아도, 이름을 널리 알리지 않아도 인생 2막을 시작했다는 거 자체만으로 성공적인 삶이라는 것이다.
2022-04-08
"키가 작든 크든, 남자든 여자든, 장애가 있건 없건, 늙은이든 어린이든 내 예술은 그 방법만 알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팔이 짧으면 짧은 대로, 손이 떨리면 떨리는 대로 자신만의 표현을 할 수 있지요."
2022-04-01
“자아실현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나처럼 은퇴 후 활동하는 이들을 ‘액티브 시니어’라고 하더라. 그런 액티브 시니어들은 은퇴로 인해 직장에선 물러났다고 해서 사회로부터 고립되는 건 원치 않는다. 나 역시 그랬다. 그런 면에서 무대라는 공간에서 이뤄지는 협업은 곧 제3의 관계를 형성하는 터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022-03-25
첫 단추가 중요하단 이야기를 하고 싶다. 하고 싶은 걸 찾았을 때 서울시50플러스재단을 만나 첫 단추를 잘 꼈다.
202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