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생태보전 사업단 직무교육(B반)
- 2020년 7월 6일(월) 10:00 ~ 18:00 2층 배움터1 -
강사 : 김은령 처장(서울하천네트워크)
김진홍 교수(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통합부)
박상인 대표(서울하천네트워크)
하천생태보전 사업단이란?
서울시내 20개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목적으로 하천 환경의 건강성 상태를 파악, 진단함에 있어 일반 시민의 눈높이에서 평가
하는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사업이다.
이번 직무교육은 7/6(월)~7/8(수)까지 3일동안 수변환경/수생식물/수질 모니터링, 하천 살리기 활동 등 하천생태보전사업단의
업무 설명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침을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오늘은 1일차로 하천 생태 이해를 위한 전문가의 이론 강의로 이루어졌다.
1. 하천자연도 조사방법 - 김은령 처장
하천자연도 평가는 물리 모니터링(수변환경), 생물 모니터링(수생생물)으로 나누어 실시한다.
첫째, 물리 모니터링은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과 하천의 특성, 인위적인 구조물에 대한 모니터링이다.
하도 직강화, 사행, 여울, 소 등 하천 흐름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좌안, 우안, 제외지, 제내지, 제방, 둔치, 호안, 보 등 구조물의
명칭과 모니터링 세부 항목을 확인했다.
둘째, 생물 모니터링은 하천의 식생 구조를 관찰 평가한다.
하천 주변에 자연 형성된 다양한 습생 식물, 수질에 영향을 주는 부착 조류, 수서 동물/수서 곤충 같은 지표 생물과 생태계의
연결성, 하천 환경 건강성 평가 척도와 평가 방법을 알아보았다.
모니터링 구간을 선정하고 세부평가 항목과 척도 기준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하천생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2. 하천환경과 구조 - 김진홍 교수
하천이란 지표면에 내린 빗물 등이 모여 흐르는 물길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크고 작은 하천의 분류와 이수기능, 치수기능, 환경 기능 등 하천의 3대 기능에 대해 배웠다.
또한, 물의 순환과 관리, 하천 생태 보전과 하천 개발 간의 상충되는 문제점, 하천 복원 사업과 하천 환경의 기본 방향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식생과 인공 식생 하천을 비교하고 생태적 환경살리기에 성공하거나 실패한 국내외 복원
사례를 보면서 우리가 하천 생태를 보전해야 하는 이유를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생태계 교란식물과 관리방안 - 박상인 대표
서울의 하천현황을 통해 도시하천의 특징과 한강개발, 하천공원화 사업에 따른 하천생태가 주민의 삶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외국에서 인위적/자연적으로 유입된 생물 중 국내 생태계에 위해가 되는 생물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뉴트리아, 황소개구리/붉은귀거북같은 양서류, 꽃매미/붉은불개미 등 파충류, 어류, 환삼덩굴같은 식물의 특징과 주요 하천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생물의 종류를 자료사진을 통해 인지하고 관리 원칙과 관리방법을 살펴보았다.
오늘 교육으로 우리 환경 중 하천이 얼마나 중요한 기능을 하는지를 알게 되었고, 지속가능한 건강한 도시 하천 보전을 위해
하천 환경에 대한 인식 향상, 도시 하천 복원에 대한 주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의 필요성, 하천생태보전 사업단의 역할과
중요성을 깨닫게 된 보람된 시간이었다.
작성자 : 학습지원단 이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