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 

 「50+열린학교-나만의 독창적인 사진 만들기」  1강 스케치 

-

 

회화 이상으로 사진도 예술로 우러르며 눈여겨 감상하곤 한다. 그러나 작금의 SNS에 넘쳐나는 개인 사진을 보노라면 사진이 이래도 되나? 이것도 사진이라 할 수 있나? 카메라를 발전시킨 과학자와 사진을 예술로 끌어올린 작가들은 이런 현실을 기쁘게 받아들일까?” 하는 의문과 불만이 솟구친다.

 

하루에도 수십 장 셀프 사진을 올리는 후배가 있는데, 그녀의 SNS 속 사진은 단연코, 결코 본인이 아니다. 50대 아줌마 얼굴이 각도 조절과 보정을 거쳐, 신한라이프 광고 모델인 가상 인물 `로지(Rozy)`로 바뀌었다. 소위 파워 블로거 맛집 소개는 협찬 받은 음식을 하나하나 찍어 보정한 후 시시콜콜 상찬을 하지만, 실상 가보면 그런 비주얼도 맛도 아니다.

      

북촌에선 아침 아홉 시부터 긴 줄 서서, 이리저리 포즈 잡으며 비싼 빵 기다리는 모습, V자를 그리며 먹는 모습을 찍어대는 20대가 흔하다. , 팔순 노모 모시고 강화도 여행 갔다가 인기 있다는 카페를 물어물어 찾아갔는데, 세상에 여기도 20대들이 사진 찍느라 몰려들어, 가뜩이나 고물상 같은 카페가 전쟁터 같다.

 

SNS 사진에 질려 사진에 대한 불신이 커진 시민기자이기에, 「나만의 독창적인 사진 만들기 강좌도 얼짱각도 셀프 사진 찍기나 뽀샵앱 소개 강좌가 아닐까 지레 걱정했다. 그러나 삐딱 선입견은 기우였다. 영어 전문 어학원을 운영했다는 정정숙 강사는 뒤늦게 사진을 시작했지만, 이력이 화려했다.

 

 

강사님2.png
▲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정정숙 강사

 

 

- 사단법인 한국사진작가협회 정회원(사진작가)

- 사단법인 한국사진작가협회 가평지부 창립회원

- 2010년 계룡세계군문화축제 사진공모전 동상 수상

- 부여워킹페스타 동영상 콘테스트 은상 수상

- 전국사진촬영대회(인천. 부여. 계룡. 전주. 연천. 진주. 임해) 입선

- 전국사진공모전(가평사진공모전 외 11개 지역) 입선

 

관찰력에 주안점을 두고, 실기에서 사진 이론까지 망라하겠다는 강의 계획안은 체계적이었다. 1회 차 수업은 나만의 시각을 넓혀라는 주제 하에 관찰력 기르기/ 나만의 감성을 사진 속에 담기/ 피사체 다르게 보기로 진행되었다. 2회 차는 사진은 디자인이다라는 주제로 디자인의 요소 알기/ (Point), (Line), 선의 종류 알기/ , 선으로 이루어진 대상 관찰하기가 예고되었다. 3회 차엔 디자인 요소의 형태를 주제로 형태(Shape) 인식하기/ 패턴, 질감 인식하기/ 색상 인식하기가. 4회 차엔 사진 구성 (사물의 형상 대비)’을 주제로 크기, 형태 대비하여 구성하기/ 색상 대비하여 구성하기/ 보편적 대비하여 구성하기를 배운다. 5회 차엔 익선동 출사로 황금 분할과 삼분할 하기/ 프레임과 프레이밍 구분하기를 현장에서 체득한다. 6회 차인 2021102714~16과제 발표로 과제를 공유하면서 총평 시간을 갖는다.

 

 

20210915_151625.png
▲ 디자인의 구성 요소

 

 

강의안만 보아도 제대로 된 나만의 사진 찍기 여정임을 알 수 있었다. 아쉬운 건 익선동 출사를 뺀 모든 강좌가 비대면, 웹엑스 강의라는 점이다. 그러나 1강을 들어보니 큰 아쉬움으로 다가오진 않았다. 수많은 사진을 찍어온 강사답게, 주제에 맞는 본인 사진을 띄우고 설명해주니 머리에 쏙쏙 들어왔다. , 선에 관한 설명 시 보여준 사진들을 예로 들면. 정중앙에 초점이 맞춰진 사진의 특징은 연꽃 한 송이를 찍은 사진으로, 시각적 움직임을 보이는 두 개 점 시점 사진은 베트남에서 찍었다는 ‘World Map`으로, 세 개 시점의 시선 이동은 플라멩코 춤을 추는 세 여인과 삼각형을 이룬 나룻배 사진으로 설명해주는 식이었다.

 

한개+점+정중앙.png 

정중앙에 초점이 맞춰진 사진의 특징을 보여주는 연꽃 사진 

 

 

두개점-베트남+월드맵.png 

▲ 시각적 움직임을 보이는 두 개 점 시점 사진 


세개+점-플라멩고.png 

▲ 세 개 시점의 시선 이동을 보여주는 플라멩코 춤을 추는 세 여인 

 

사진에 관한 좋은 글귀도 마음에 크게 와닿았다. “좋은 사진이란 좋은 눈으로부터 나온다.” “사과를 보면 농부의 수고로움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게 수업 목표다.” “관찰력이 있어야 피사체로부터 느낀 감동을 사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있어야 사진가와 감상자가 교감하고 공유할 수 있다.” “그림은 가슴으로 그리는 것이다. - 칸딘스키

 

 


자료 사진이 풍부해서 이해하기 쉬웠던 강의지만 아쉬움도 있었다. 37명 수강생 대부분이 온라인 강의지만 비슷한 관심사의 동년배도 만나고 싶습니다.”라는 의견을 낸 만큼, 출석을 부르며 자기소개와 사진 생각을 나누었으면 좋았을 텐데. 영상과 소리도 미리 체크했어야 했다. 수강생들은 강사 목소리가 잘 들리는데 강사님은 수강생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며 몇 번이고 되물었다. 컴퓨터 화면 조작도 사전에 살펴야 했다. 강사님이 마스크를 벗고 강의하면 발음이 명확하게 전달되겠다는 수강생 의견이 있었는데, 그건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의 방역 규칙상 어렵다는 게 센터 직원의 안내였다. 이도 미리 고지했더라면 좋았겠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안정을 찾은 강사님은 추석 연휴로 한 주 쉬어 가니 숙제를 두 개 내주신다 하셨다. 커피잔 안 우유의 흐름을 보며 숫자를 연상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1-9까지 숫자를 매길 수 있는 대상을 찾아 촬영하기. 점 하나에서 세 개까지의 구도로 디자인한 사진 세 점. 사진기는 모바일 폰도 좋고, 각자 편한 것을 택해 강사님 메일로 보내달라셨다. 조화롭게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나만의 시각으로 찾아낸 사진이면 된다는 주문인데, 그게 말처럼 쉬울까?

 

어느 분야든 입문자는 욕심이 앞서, 수십 년 연마해온 이처럼 되지 않는다고 불평하거나 지레 낙담한다. 적어도 강사님이 들인 시간과 노력과 경비를 들여야 겨우 따라갈 수 있을 거라고 느긋하게 생각하며, 자신의 시각을 반듯하게 진실하게 펼치는 정직한 사진가가 되길 바란다.

 

 

50+시민기자단 옥선희 기자 (eastok7@naver.com)

 

20210601_서울시50플러스재단_시민기자단_웹명함_18명_수정_outline_옥선희.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