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이 추웠던 만큼 새싹은 더 싱싱하게 올라온다. 봄이 되니 마을 여기저기서 쑥 뜯는 사람들이 보인다. 어린 시절 누나와 동생이랑 논두렁에서 쑥을 뜯어 끓여먹던 쑥된장국 냄새가 아련하다. 쑥떡 생각도 난다. 쑥은 왠지 과거를 떠올리게 하고, 따뜻한 고향의 느낌을 주는 음식이자 약초다.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식물이라 하면 무궁화, 진달래, 민들레, 쑥 등을 들 수 있다.

 

 

쑥은 원자폭탄이 떨어진 히로시마에서 가장 먼저 자라난 풀이다. 국화과 식물은 대부분 벌레를 이용해 수정을 하는 충매화인데, 쑥은 바람에 의해 수정이 되는 풍매화이기 때문에 척박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 이처럼 생명력이 강하기에 우리 민족의 역사와 닮아 있고, 또 그에 걸맞은 약효를 갖고 있다.

쑥은 ‘의초(醫草)’로 불릴 정도로 약효가 뛰어난 풀이다. 단군 신화에는 쑥과 마늘 이야기로 나오고, ‘맹자’에는 7년 묵은 병에 3년 묵은 쑥을 구한다는 이야기로 등장한다. 동양에서는 쑥을 먹기도 했고 쑥 달인 물에 몸을 씻기도 했으며 말려서 뜸을 뜨기도 했다.

서양에서는 쑥을 ‘Gypsy′s Tobacco’라 부르는데, 이는 이동이 많은 집시들이 건조된 쑥을 태워 악귀를 쫓고 역병을 치료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쑥은 동서양 모두에서 의학적 기능을 해온 식물이다.

쑥은 단군 신화에 등장하면서 우리 민족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을 맺어왔다. 웅녀는 동굴에서 쑥과 마늘로 21일을 버틴 끝 에 사람으로 변해 환웅과 결혼해 단군을 낳았다. 우리 민족의 피 속에 대대로 쑥 향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는 셈이다. 웅녀가 쑥과 마늘을 먹은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마늘은 강력한 천연 항생제이며 항암작용과 살균작용이 뛰어나다. 구운 마늘은 아랫배를 따뜻하게 해준다. 또 쑥을 태워 악기를 쫓을 수 있고, 묵혀서 뜸을 뜨면 각종 병을 치료하며, 갓 캐어 끓여 먹으면 여성의 자궁에 매우 좋다. 그래서 옛날에는 마늘과 쑥이 생명 보존에 매우 소중한 자원이었다.

쑥은 여성과 관련한 풀이다. 여성에게 있어 피의 저장 공간인 자궁과 아랫배를 따뜻하게 데워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생리의 양이 적거나 너무 많은 경우, 아랫배가 차가워 생리통이 있는 경우,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경우에 좋다. 임신 초기에 태아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해 피가 비치면서 불안한 경우에도 좋다. 냉이 많은 여성이나 설사를 자주 하는 여성에게도 도움이 된다. 쑥의 속명은 ‘아르테미시아(Artemisia)’인데 그리스 신화에서 탄생과 다산의 여신인 아르테미스(Artemi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서양에서도 쑥은 여성을 보호하는 식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쑥은 각종 출혈증에도 좋다. 코피를 흘리거나 피를 토할 때, 대변에 피가 섞여 있을 때, 하혈이 심할 때 좋다. 또 차가운 체질의 만성 위장병에도 좋다. 쑥 향기는 식욕을 돋워줄 뿐만 아니라 몸의 습기도 말려줘 습진, 치질 등의 증세를 호전시킨다. 또 쑥 향기를 맡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기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간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특히 좋다. 이때는 묵힌 쑥이 아니라 갓 캐낸 쑥을 사용해야 더 좋다. 이밖에 쑥 향기는 이목구비를 소통시켜 머리를 맑게 해주는 효능도 있다. 또한 나쁜 기운이나 상한 음식 때문에 가슴이나 배가 갑자기 아

플 때도 쑥국이 좋다.

탈항(脫肛)이나 치질, 변비 등 항문 질환에는 쑥을 태워서 훈증하거나 달인 물로 씻 어주고 뜨거운 김을 쐬어주면 좋다. 한의학의 기본이 침과 뜸, 약인데, 뜸의 주재료가 묵힌 쑥이다. 오래 묵힌 쑥일수록 뜸 효과가 더 좋다. 뜸에는 살을 태우지 않는 간접구(間接灸)와 살을 태우는 직접구가 있다. 간접구(直接灸)는 위장을 운동시켜주고 상열하한(上熱下寒), 즉 머리가 뜨겁고 아랫배와 다리가 차가운 증상을 치료해준다. 간접구는 주로 위장과 배꼽, 단전 부위에 뜸을 뜬다. 직접구는 국소 부위로 피와 에너지를 끌어모으며 회복 작용을 돕는다. 쑥을 뜸으로 쓸 때는 3년 이상 묵힌 쑥을 쓰는 것이 좋은데, 직접구일수록 더욱 그렇다. 쑥뜸의 적용 범위는 매우 넓고 효과 또한 강력하다. 쑥은 진정 ‘의초’라 불릴 자격이 있다.

쑥은 강화도와 백령도 등 서해안의 쑥이 유명한데, 사자발쑥과 싸자리쑥이 있다. 강화도와 백령도는 서해 해풍이 바로 불어오는 곳이다. 소금기와 바람이 식물의 수분을 말려버려 일반 식물은 해풍이 강한 곳에서는 살기 힘들다. 따라서 이곳 식물들은 개질경이처럼 털이 많거나, 선인장처럼 잎이 육질로 변하거나, 퉁퉁마디처럼 스스로 소금기를 머금거나 하는 생존 전략을 선택한다. 원래 건조한 지역에서 살아서 잎 뒷면 털이 발달한 쑥이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잎 뒷면 흰 털을 보다 강화해서 수분을 더 잘 갈무리하는 것이다. 해풍이 강한 곳일수록 흰 털이 더 발달해, 강화도에서도 해풍을 직접적으로 받는 화도면 내리의 사자발쑥과 싸자리쑥이 유명하다.

쑥을 먹으면 몸이 따뜻해진다. 그리고 쑥으로 뜸을 뜨면 수분과 습을 조절해서 몸이 가벼워진다. 참쑥과 사자발쑥은 식용으로 많이 쓰고, 싸자리쑥은 뜸용으로 많이 쓴다. 올해도 앞마당에는 어김없이 쑥이 자라 올라오고 있다. 우리 민족과 역사를 같이 해온 쑥은 우리에게 쑥쑥 힘을 보태주고 있다.

 

 

글 최철한(崔哲漢) 본디올대치한의원 원장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