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년들은 이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 재무, 관계, 그리고 일 등 여러 가지 삶의 주요 영역을 중시해야만 한다. 그중에서도 관계의 중요성도 매우 강조된다. 건강하고 오래 살기 위해서는 생명보험 등을 넣는 것 보다는 서로 격려해주고 지지해줄 수 있는 한 명의 친구라도 더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관계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때 전문가의 이야기는 관계하는 사람들의 수가 아닌 친밀도에 관한 것이다.

 

 

신중년들의 경우 대부분 인생의 주된 일자리부터의 퇴직, 장성한 자녀들의 분가, 그리고 간혹 부부간의 사별 등의 이유로 관계상의 중요한 변화시점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인생의 주된 일자리에서 많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 신중년들은 퇴직한 이후에 필수적으로 관계문제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아야만 한다. 가령 질적인 관계를 위해서 이전의 직장생활 등에서 맺은 인간관계를 한 번 정리해볼 필요는 없을까? 소위 관계에도 수명이 있다는 전제하에 관계수명이라는 용어와 그와 관련된 관계를 성찰해볼 수 있는 관계바퀴에 대해 알아보자.

 

관계수명이란?

정리전문가 윤선현 작가는 관계정리가 힘이다라는 책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자연히 소멸하는 관계와 개인의 친밀한 관계를 중심으로 재정리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필자는 이때 소멸되거나, 재정리되는 관계에 대해 관계수명이라는 용어를 적용하고 싶다. 삶을 설계할 때에 종종 검사지를 통해서 확인해보는 기대수명이 있는데, 그것도 이전과 달리 100세 시대라는 용어에 걸맞게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사실에 놀라는 피검사자들이 많다. 물론 검사지의 초기 값을 계속 늘어나는 평균수명으로 하기 때문에 이전과 달리 당연히 늘어나게 된다. 그렇다면 평균수명기대수명만 존재하는 것일까? 그렇지않다. 그런 수명들이 늘어남에 따라 더 오래 살게되면서 앞서 이야기한 관계수명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관계수명이란 용어는 관계의 확대라기 보다는 관계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정리를 필요로 한다.

 

한 번 생각해보자. 이전의 인생 1~2막 등에서 어떤 이유로 관계하던 사람들과 더 이상 관계를 하지 않는 경우는 없는가? 더 이상 같이하는 시간이 없는 상황하에서는 당연히 많은 관계가 정리되는데, 이때 그 관계는 관계수명의 적용을 받은 것이다. ‘관계수명을 통해서 정리된 관계는 이제 수명의 연장과 함께 새로이 맺게 되는 관계에 그 자리를 내어준다.

 

관계수명은 아래 2가지 방법으로 분류해볼 수 있다.

첫째, 경우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신중년들은 관계수명4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일을 갖기 이전의 어린 시절과 교육을 받던 시절이 관계 1에 해당하고, ‘관계 2는 대부분 주된 일자리로부터 퇴직하는 시기 이전의 관계에 해당되고, 이후 평균적으로 근로생애를 마감하는 72세 전후까지가 관계 3가 될 것이며, 마지막으로 은퇴한 이후는 관계 4에 해당된다.

둘째, 기간에 따라 관계수명을 단기, 중기, 그리고 장기로 나눌 수 있다. 단기적 관계는 3년 이하의 관계로서 역할 및 지위의 변화에 따라 편의상 나누게되는 관계이며, 중기적 관계는 대략 4년 이상에서 10년 이하의 기간에 맺는 관계로서 몇 번 변화되는 직업 속에서 맺게 되는 관계이다. 장기적인 관계는 10년 이상의 관계로서 연령이나 관습이 비슷한 사람들과 함께 어린 시절의 추억을 공유한 사람들과의 관계이다.

 

관계 바퀴란?

그렇다면 여러 가지의 관계수명의 확대, 축소 혹은 적용을 측정해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물론 아주 세밀하게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아래 제시된 워크시트를 통해서 나의 여러 가지 관계의 확대, 축소 등을 통해서 관계수명을 가늠해볼 수 있다.

 

이 워크시트는 바퀴라 할 수 있는 원의 중심축에 자신을 두고 우리가 삶에서 중시하는 관계대상인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친구, 그리고 사회적 동료들을 바퀴살로 규정하고 있다. 나를 중심으로 하여 바퀴살에 위치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측정해보는 형태이다. 점수가 높을 경우 관계가 친밀하며, 점수가 낮을시 친밀하게 지내고 있지 않다는 전제하에 현 상황과 자신의 희망상황을 점으로 표시한 이후에 각각을 연결하여 전체 관계상황을 가늠해보고, 옆의 질문에 답해보면서 관계를 재정립해보는 것이다. 물론 워크시트의 오른쪽에 있는 질문은 필요시 다른 질문으로 전환할 수도 있고, 원의 바퀴살에는 자신만의 특별한 다른 관계도 별도로 적어서 현 상황과 희망상황을 측정해볼 수도 있다. 혹은 각 바퀴살의 하나하나도 더욱 세부적으로 판단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동료를 중심축에 위치시키고, 중요한 관계자들의 이름을 바퀴살로 하여, 다시 한 번 세밀하게 생각해볼 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수명이 연장되면서 삶의 다른 영역도 그러하지만 무엇보다도 서로 지지해주고, 격려해줄 수 있는 관계의 유지도 중요하다. 그러나 관계의 유지 혹은 확장도 중요하지만, 인생의 큰 변화시기에는 관계수명을 적용하여, 관계정리를 통해서 새로운 관계의 공간을 마련하고, 그 공간을 새로운 친밀한 관계로 채우는 지혜도 가져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