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빨간 단풍이 들었네요.
바다에 빨갛게 불이 났군요.
그러나
119 소방차 부르면 절대 안 돼요.
우리 그냥
한없이 불구경하기로 해요.

 

 

꽃 찾아 산을 오르고, 계곡을 헤매고, 들로 나가고, 강에도 가도, 물속에도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급기야 바닷가에도 갔습니다. 가서 바닷가 벼랑 위에 핀 둥근바위솔도 만나고 해국도 보았습니다. 석호(潟湖) 가장자리 모래톱에 핀 갯봄맞이도 만났습니다. 그러나 정작 바다에 핀,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벌 한가운데 핀 꽃들은 눈여겨보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어느 가을날 단풍보다 더 붉게 타오르는 거대한 물결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야말로 “오매, 단풍 들것네”라고 외마디 탄성이 절로 나오더군요.

 

꼭 1년 전인 지난해 10월호에 고창 선운사와 함평 용천사, 영광 불갑사에서 열린 진홍의 꽃무릇 축제를 소개하면서 가을이 가기 전 그 장관을 놓치지 말라고 했는데, 서·남해안 갯벌을 커다랗게 수놓는 해홍나물의 붉은 단풍역시 놓쳐서는 안 될 가을의 축복이라 말하기에 한 치의 부족함도 없습니다. 갯벌은 오랫동안 간척과 매립 등 개발의 대상이었으나, 최근 들어 다양한 생물의 보물창고요 자연재해를 막는 스펀지, 바다와 지구를 지키는 허파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우리나라 서·남해안에는 작지 않은 규모와 양질의 갯벌이 남아, 바닷물의 소금기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염생식물(鹽生植物)들이 강한 생명력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바다의 붉은 나물이라는 뜻의 해홍(海紅)나물, 그리고 해홍나물의 사촌이라 일컬을 만큼 잎이나 줄기 등 전초가 매우 유사한 칠면초와 나문재, 방석나물, 퉁퉁마디, 수송나물 등이 그것입니다. 특히 연두색싹이 자라서 짙은 자주색으로 변하는 가을까지 이파리 등 전초의 색이 일곱차례나 변한다고 해서, 아니 꼭 일곱차례는 아니어도 칠면조(七面鳥)처럼여러 번 바뀐다고 해서 그런 이름을 얻은 칠면초나 해홍나물은 가을이 되면 거대한 군락이 끝없이 펼쳐져, 드나드는 바닷물마저 물들일 듯 붉게붉게 타오릅니다. 물론 우리 눈에 들어오는 붉은색은 식별도 되지 않을 만큼 자잘하게 피는 꽃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줄기와 잎 등 식물체 전체가 단풍이 들듯 변하는 데서 오는 것입니다. 참, 지난해 가을 필자의 블로그에 해홍나물과 칠면초가 뒤섞인 군락이 붉게물들어가는 서해 작은 섬의 정경을 올리자 ‘내사랑’이란 아이디를 가진 이가 사진보다 멋진 댓글을 달았기에 글 앞머리에 인용, 소개했습니다.

 

 

Where is it?

서울에서 가까운 강화도에서 전남 순천만에 이르기까지 서·남해 바닷가에 광범위하게 펼쳐지는 갯벌(또는개펄)이 모두 해홍나물과 칠면초 등 염생식물의 자생지다. 명아주과 나문재속 한해살이풀인 해홍나물과 칠면초는 같은 갯벌에 섞여 자라기도 하는데, 해홍나물이 칠면초보다 키도 크고 잎도 긴 편이다. 해홍나물 군락지는 2017년 6월 석모대교 개통으로 자동차로 한 시간이면 서울에서도 닿을 수 있는 석모도 해안(사진)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강화도 선두리 포구나 영종도 공항 가는 길에 있는 운염도에서도 나문재, 칠면초와 함께 볼 수 있다. 전남 순천만은 대규모 칠면초 군락을 만날 수 있는 갯벌로 이름이 높다. 전남신안 증도의 소금 생산지인 태평염전도 칠면초 사진 촬영지로 인기다.

 

글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