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파티’가 끝났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략 10년간 지속돼온 저금리 시대가 저물고 있다. 이미 국내 금융시장 에서도 금리 인상의 기운이 꿈틀거리고 있다. 금리 인상은 은퇴 후 예금 이자로 생활 하는 이들에게는 다소 숨통을 틔워줄 수 있지만, 빚을 가진 이들에게는 직격탄이 될 수 있다. 당장 은퇴 후 자영업에 뛰어든 ‘베이비부머(1955~1963년)’ 세대가 빚의 굴레에 갇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금리인상, 국내 영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지난 1월 말 성명을 통해 “시장을 기반으로 한 물가가 최근 수개월간 상승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자산시장을 요동치게 했다. 글로벌 증시는 폭락했고, 미 국채 금리는 급등했다.

연준은 지난 2015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며, 금리 인상의 시동을 걸었다. 2006 이후 10 만이었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드는 2018년에는 3차례 수준의 금리 인상이 예고돼 왔다.

문제는 금리 인상의 속도가 예상외로 빨라 지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4차례 금리 인상 도 가능한 것으로 본다. 최근 한국은행 뉴 욕 사무소에 따르면, 주요 해외투자은행 (IB) 16개 기관 중 6개 기관이 올해 미 연준 이 금리를 4차례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월 조사 때보다 2개 기관이 더 늘었다. 올해 3차례 인상을 전망한 곳은 9개 기관 으로, 전월보다 한 곳이 늘었다.

 

이민구 한국씨티은행 WM상품부 부장은 지난해 말 한국경제매거진 ‘MONEY’와의 인터뷰에서 “2018년 연 3회 수준의 완만한 금리 인상과 점진적인 유동성 축소를 예상하기 때문에,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이지만 주식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예상을 뛰어넘어 금리 인상이 급격히 진행될 경우 국내 증시에 먹구름이 드리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한미 간 ‘금리역전’의 경우 국내 증시에서 막대한 자금이 유출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올해 미국은 3~4차례의 금리 인상 예상이 우세하지만, 한국은 1400조 가계부채 등으로 1~2차례 금리 인상에 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현재 연 1.25∼1.5%인 미국의 정책금리와 연 1.5%의 한국 기준금리는 10년 만에 역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국인의 한국 상장주식 보유금액은 265조1180억 원에 달한다. 미국이 제로금리 정책을 시작한 2008년 말(64조5080억 원) 이후 미국의 한국 주식 보유액이 4배 이상 급증했다. 향후 미국의 금리가 높아져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경우 외국인의 자금유출로, 국내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임대수익으로 노후 준비 ‘빨간 불’

올해 말 은퇴를 준비하는 50대 중반의 L 씨는 최근 금리 인상 소식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L 씨는 “향후 은퇴하면 퇴직금으로 월세를 받는 임대사업을 고려했는데, 부동산 규제도 많아지고 대출 문턱도 까다로워져 걱정”이라고 말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크게 들썩이고 있다. 금리가 올라 대출 부담이 늘수록 임대수익은 떨어지는 구조다. 한국은행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60 이상 임대가구는 2012 28 가구에서 2016 43 가구로 5 15 가구나 늘었다. 기간 임대가구의 금융부채는 180조 원에서 226 원으로 증가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은퇴 세대 상당수가 비은행권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점이다. 50~59세의 저축은행·비은행금융기관 대출비중(담보 및 신용대출 기준)은 17.7%, 60세 이상이 25.7%였다. 이는 30대 7.3%, 40대 11.9%에 비해 단연 높은 수준이다. 비은행권 대출의 경우 고금리인 데다 소득 수준이 은퇴 이후 급격히 줄어들게 돼 위험가구에 포함될 개연성이 높다.

특히 지난 1 말부터는()총부채상환비율(DTI)’까지 시행되면서, 소득이 적은 은퇴자의 시중은행 거래가 어려워짐에 따라 비은행권 대출을 부추길 있다. DTI 소득증빙 요건이 까다롭고, 은퇴 전후세대의 경우 소득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따져 대출 한도를 낮춘다. 이처럼 대출 문턱은 높아지는데, 대출 이자마저 치솟고 있어 빚이 많은 은퇴 세대나 자영업자의 이중고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기에는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고려해 안정적인 자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금융사회적기업인희망만드는사람들 서경준 본부장은부채를 안고 임대사업이나 창업을 경우 금리 인상에 따른 실질적 영향을 세밀하게 살펴봐야 한다 상환 부담이 급격하게 커지는 것이 아니라면 소비규모 등을 줄여 현금흐름을 합리화하고, 임대사업 수익 등이 매우 저조한 경우 매각도 신중하게 고려해봐야 한다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연말 은행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 금리는 연 3.61%로 2014년 10월(3.6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8월(3.39%)부터 4개월 연속 오르며 0.22%포인트나 올랐다.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은 3.28%에서 3.42%로 0.14%포인트 상승했고, 신용대출은 3.78%에서 4.49%로 무려 0.71%포인트 올랐다.

그간 저금리에 애태웠던 예금생활자들에게 금리 인상은 모처럼 반가운 소식이다. 금리 상승기를 맞아 금융권은 금리 혜택을 높인 예·적금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증시는 불안하고 금리는 올라가면서 시중의 돈이 안전 자산인 ‘예금’으로 몰려들고 있다.

올 들어 연 2% 이상의 금리를 내세운 시중 은행의 특판 예금 상품은 ‘조기 완판’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은행이 연 2.1% 금리로 특별 판매한 ‘우리투게더 더드림 정기예금’은 출시 후 4거래일 만에 완판됐고, SC제일은행의 공동 구매 정기예금도 출시 11일 만에 1000억 원을 조기 달성해 가입 고객 모두 최고 금리인 연 2.3%를 적용받는다.

전북은행은 2월 5일부터 3월 2일까지 ‘상반기 고객감사 특판 예·적금’을 판매한다. 가입기간이 12개월 및 24개월인 특판 예금은 최대 연 2.4%(우대금리 포함), 만기 12·24·36개월로 판매되는 특판 적금은 최대 연 2.65%의 금리가 적용된다. 판매 한도는 1000억 원으로, 조기 소진될 수 있다.

인터넷 전문은행의 금리도 눈에 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2 둘째 기준 예금금리는 별다른 조건 없이 2.2%. 저축은행 예금상품 금리는 2% 중후반대로,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편이다. 2 13 기준 만기 12개월 기준으로 저축은행의 고금리 예금을 살펴보면, 페퍼저축은행이 최고 2.27% 정기예금을 판매 중이다. 세종저축은행은 2.66, 안국저축은행과 키움YES저축은행은 2.65%의 정기예금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최대 4% 적금 상품도 등장했다. 우리은행 ‘우리웰리치100여행적금’은 최고금리가 연 4.7%로, 여행 고객을 잡기 위한 특화상품이다. 우리은행·우리카드 실적에 따라 높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예금 이자 ‘더’ 받는 3가지 비법

1. 금리 비교하기 ; 금리 정보를 얻기 위해선 각 은행에 문의해봐도 좋지만, 일일이 정보를 ㅖ:는 게 어렵다면 각 은행의 상품 정보를 모아놓은 사이트를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금융상품한눈에’(finlife.fss.or.kr)를 참조하면 도움이 된다.

2. 비과세 활용하기 만 65세 이상의 노인이나 장애인 생활보호대상자는 생계형 비과세 저축에 가입할 수 있다. 전 금융권을 통틀어 1인 1통장에 한하며 2000만 원까지 가입이 가능하다.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이 전액 면제된다.

3. 새마을금고, 신협, 단위농협의 비과세 혜택받기 새마을금고, 농·수협 단위조합, 신협 등도 저금리시대에 눈여겨볼 만한 금융기관이다. 일반 은행들은 이자에서 무려 15.4%의 세금을 떼어가지만, 이러한 상호금융기관 예금에서는 1.4%의 농어촌특별세만 징수한다. 단, 이들 상호금융기관에 대한 세금 혜택은 2018년 말 일몰 예정이다.

 

 

 배현정 한국경제매거진 MONEY 기자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