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재 시인, "중·장년들이여! 행복한 미래를 위해 고민하라"

 

 

▲이문재 시인 겸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이문재(李文宰·57) 시인 겸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는 2014년 <지금 여기가 맨 앞>을 펴내며 이런 말을 썼다. ‘시란 무엇인가라고 묻는 대신 시란 무엇이어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시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고 묻지 않고 시가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라고 묻곤 했다. 시를 나 혹은 너라고 바꿔보기도 했다. 나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우리는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 그러다 보니 지금 여기 내가 맨 앞이었다.’ 지금 여기 맨 앞에 선 그는 <저항안내서(하랄트 벨처 지음)>를 통해 실천하는 지성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평소 자본주의 시대의 생태계와 소비문제에 관심이 많던 그는 한 일간지에 실린 짧은 서평을 보고 <저항안내서>를 읽게 됐다. 책의 저자인 하랄트 벨처(독일 사회심리학자)라는 인물은 낯설었지만, 내용은 익숙하리만큼 그의 시집과 같은 맥락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난해 많은 책을 읽었는데, 새로운 미래에 관한, 가장 기억에 남는 책입니다. 제가 갖고 있던 에콜로지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하는 계기가 됐고, 특히 자본주의를 소비사회의 틀로 분석한 것이 참 인상적이었어요. 요즘 쓰는 칼럼들도 어떻게 소비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등에 대한 것인데, 그런 점에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죠. 그동안 잘 몰랐던 부분을 건드려 주기도 하고, 새로운 생각을 확대해줘서 처음부터 끝까지 메모를 해가며 읽었습니다.”

 

하랄트 벨처는 미래를 되찾으려면 효율성과 소비, 성장에 기초한 삶에 대해 저항하고 삶의 기준을 행복과 지속가능성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스스로 생각하기, 스스로 행동하기’를 통한 실천적 저항을 제안한다. 이 교수 역시 이러한 제안에 동의하며, 무엇보다 우리 시대 중·장년의 각성과 의미 있는 행동이 필요한 때라고 말한다.

 

“지금 우리 기성세대가 좋은 미래를 위한 가능성을 만들어놓지 않으면 후손들의 미래는 없는 거잖아요. 지구적 차원에서 보면 후기 산업사회, 절정을 달리고 있는 자본주의가 누리고 있는 풍요가 미래세대의 것을 일방적으로 수탈한 셈이라고 생각해요. 지구의 자원은 미래세대와 공유하고, 남겨줘야 하는데 우리는 너무나 함부로 소비하고 있죠. 그런 점에서 중·장년세대가 뼈아픈 각성을 해야 해요. <저항안내서>는 그런 이들에게 우리가 누리는 물질과 풍요는 어디서 왔는가, 과연 정당한 것인가, 후손에게 물려줄 것은 무엇인가 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미래의 가장 소중한 가치는 행복

 

책에는 가치가 실천을 이끌어내는 시대를 지나, 실천이 가치를 이끌어낼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렇다면 기성세대가 실천해야 하는 것과 그들이 궁극적으로 이끌어내야 하는 가치는 무엇일까?

 

“그에 대한 해답을 한 리서치를 통해 설명할 수 있죠. 경희대학교 학생 1만4000명이 참여한 ‘미래대학리포트’를 살펴보면 ‘현재와 50년 후 미래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가치’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 1순위가 모두 ‘행복’이에요. 행복한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지 않죠. 우리 아이들이 느끼고 있을 불행에 대해 기성세대들이 정말 심각하게 생각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한 고민을 해야 합니다.”

 

흔히들 청년세대에게 "너희는 왜 꿈이 없느냐. 도전하지 않느냐"고 꾸짖지만, 이 교수는 그러한 행동은 가혹하다고 말한다. 굶어 죽어가는 사람에게 "너는 왜 비타민을 먹지 않느냐"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 굶어가는 사람에게는 물을 먼저 마시게 하고, 조금씩 먹여가며 기운을 차리게 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이다. 그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저항 역시 청년 세대를 질타하는 것이 아닌, 기성세대의 행동이 솔선수범돼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런 과정을 통해 서서히 기성세대와 행복한 미래에 대한 믿음을 쌓아가다 보면 자연스레 청년세대의 실천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어떻게 청년들로 하여금 지금과는 다른 세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게 할 수 있을까요? 이제는 말하고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해요. 내가 안드로이드를 안 쓰고 애플을 쓰면 쟤들하고 다르다. 폭스바겐을 타지 않고 아우디를 타면 다르다. 어느 지역에 사는 것, 어떤 옷을 입는 것 모든 것이 소비를 통해서 신분, 계층, 삶의 질이 구분되고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소비하는 것에 대한 반성, 성찰 그리고 올바른 실천이 필요합니다. 그런 행동을 통해 자본주의 시스템 바깥에서 덜 소비하면서 살아도 얼마든지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우리 아이들에게 보여줘야죠.”

 

 

▲이문재 교수의 추천 도서 <저항 안내서>와 그의 자필 메시지.

 

 

에세이 쓰면 삶의 의미를 발견 할 수 있어

 

그는 생태와 환경 문제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상황이 몇몇 사람의 운동이나 캠페인 정도로는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느꼈다. 하지만 누구나 예외일 수는 없다. 중금속, 방사능, 초미세 먼지 등 이미 우리가 피할 수 없는 환경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느냐. 그는 결국 정치라고 말한다.

 

“이때의 정치는 여의도 정치, 청와대 정치 이런 게 아닙니다. 자기 정치를 의미하죠. 책의 서두에 실린 ‘성공적인 저항을 위한 12가지 지침’ 중 ‘모든 것은 달라질 수 있다. 그것은 당신에게 달려있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것이 정치의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내가 정치적 주체로 나서는 것이죠. 그렇게 하려면 스스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거든요.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 정치의 주체는 어떤 모습인지를 생각하고, 스스로 법칙을 만들고 그것을 준수하는 것이죠. 거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기 정치는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책임을 지되, 그것을 표현해야 해요. 표현하지 않으면 타인과 만날 수 없으니까요. 이러한 과정을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거죠.”

 

<저항안내서>의 부제는 ‘스스로 생각하라’이다. 책의 마지막 장에는 스스로 생각하기의 본보기가 될 만한 다양한 사례들을 담았다. 이 교수가 실천하는 ‘스스로 생각하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했다.

 

“시를 쓰는 거죠.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서 어떻게 시를 쓰겠어요. 또, 스스로 생각하기 위해 자주 걸어 다니려고 애를 씁니다. 그리고 글쓰기 강연을 하고 있어요. 서울시와 함께하는 서울시민대학 프로그램을 통해 ‘나를 위한 글쓰기’라는 강좌를 열고 있습니다. 글쓰기는 특히 은퇴 전후 중·장년층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그야말로 국가와 사회와 가족을 위해 열심히 살아왔는데 자신의 삶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스스로 정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내가 이렇게 살아왔다고 누구한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도 안 되고요.”

 

‘자기 성찰과 재탄생’이라고도 불리는 이 강좌를 통해 수강생들은 10편의 짧은 에세이를 쓰게 된다. 5편은 과거 삶에 대해, 3편은 현재, 나머지 2편은 미래에 관해 쓰는 것이다. 과거, 현재, 미래를 담아낸 10편의 에세이를 묶어 놓으면 한 권의 자서전이나 다름없다.

 

“특히 중년 남성분들의 경우 공통적인 반응이 ‘가장 행복했던 순간’ 등을 쓰라고 하면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는 거예요. 기업 임원 은퇴자든, 교수든, 공무원이든 살아오면서 그런 순간을 떠올려본 적이 없다며, 그저 앞만 보고 달려왔노라 말하죠. 글쓰기 과정을 통해 스스로 인생의 기승전결을 구성하다 보면 삶의 의미가 만들어져요. 누구나 그 안에 엄청난 보물을 가지고 있는데 이 사회가 그것을 못 돌아보게 했던 거죠.”

 

중·장년 수강생들이 공통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한 가지 더 있다. 대부분이 미래에는 타인을 위해, 사회를 위해 환원하고 봉사하며 살겠다고 쓴다는 것. 이 교수는 그런 이들이 <저항안내서>같은 책을 읽으면 남다른 깨우침이 있을 것이라 말했다.

 

“에세이를 쓰다 보면 자기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돼요. 이를 통해 그동안 의미 있게 살아온 만큼 앞으로도 미래 세대를 위해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느끼게 되죠. 누구나 그럴 수 있을 텐데, 그걸 알게 해주는 촉매제나 불씨가 없이 살아왔을 뿐이에요. 책에는 3~5퍼센트 법칙이 나옵니다. 각 분야의 3~5퍼센트가 다른 생각을 가지면 사회가 변한다는 거죠. 저는 우리 기성세대의 3~5퍼센트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새로운 미래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만들어가길 희망하고 있어요.”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사진 이태인 기자 teinny@etoday.co.kr